안녕하세요. 인포텔러의 쏘밍(SSOMING)입니다.
요즘 뉴스를 보면 전 세계적으로 지진 및 태풍 등 기상 이변이 점차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저희는 안전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2022년 8월 여름의 힌남노 태풍이 우리나라를 강타하고 겨우 지나갔다 싶었더니, 피해의 복구가 다 이루어지기도 전에 한달만에 역대급으로 강력한 9월 태풍인 난마돌이 북상해서 우리나라를 강타합니다. 이렇듯 이제 대한민국 또한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에 따라 태풍과 같은 각 종 자연재해 위험에 노출되어져 있고 이제는 안일하게 방임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들께서는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와 관련해서 안전한 대처방법을 마련해 놓으셨는지요? 오늘은 태풍과 관련된 반드시 알고 계셔야 할 필수 안전대책들을 함께 알아보고 가보도록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태풍이 오기 전'의 예방 안전수칙
1. TV, 라디오, 스마트폰
텔레비전 및 라디오, 아이패드,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전자 통신기기들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면서 시시각각 변화하는 정보 상태들을 수신하여 태풍의 진로와 도달시간을 숙지합니다.
2. 하수구 및 배수구 막힌곳 뚫기
가정의 하수구나 집주변의 배수구를 점검하고, 반드시 막힌 곳을 뚫어놔야 합니다.
3. 대비장소 및 비상 연락망 미리 확인
특히 침수 피해나 산사태가 일어날 위험이 있는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분들은 대피장소와 비상 연락방법을 미리 꼭 알아두세요.
4. 자동차 승용차 등의 차량 옮겨 놓기
아파트 및 오피스텔 등과 같은 고층 건물의 지하주차장은 태풍과 비바람이 몰아치는 상황에서 매우 위험한 장소 입니다. 실제로 2022년 9월 6일 오전 6시 30분경,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의 한 아파트 단지 지하주차장에서 태풍과 집중호우가 몰아치는 상황에서 '지하주장에서 차를 빼야 한다'는 경비실의 안내방송을 들은 주민분들이 아침에 급하게 지하주차장에서 차량을 옮기다가 순식간에 단체로 실종되어 2명이 겨우 생존하고 7명이 사망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반드시 태풍과 비바람이 몰아치기전 하루 이틀 전에 미리 옮겨 놓으세요. 태풍과 함께 몰아치는 비바람 속에서 당일날 자동자와 같은 탈 것들을 옮기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지하주차장과 마찬가지로 낮은 저지대에 주차되어져 있거나 강 하천 근처에 주차된 승용차 등은 미리 하루 이틀 전에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키세요.
5. 위험한 물건은 고정해놓기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창문, 출입문은 사망 사고등의 인명피해를 초래할 위험한 살상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반드시 고정해 놓으셔야 합니다. 마당이나 외부에 있는 헌 가구, 놀이기구, 자전거 등 역시 단단히 고정하세요.
6. 공사장 주변 피하기
공사장 근처에서는 철근 자재들이 갑자기 위에서 낙하되어지거나 주변으로 부터 날라올 수 있습니다. 공사장 인근은 아이들 뿐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갑작스런 낙하물로 인한 치명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오니 절대로 가까이 가지 마세요.
7.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 접촉 금지
외부에 계시다면 감전 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은 손으로 직접 만지거나 절대 가까이 가지 마세요.
8. 집 안팎의 전기수리 금지
집중호우를 동반하는 태풍의 경우 항상 안전을 가장 먼저 우선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집 안에 계시더라도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마세요.
9. 감속운행
운전 중일 경우 무조건 감속운행 하셔야 합니다.
10. 건물 안쪽으로 대피하기
아직 집으로 못 돌아가시고 밖에 계실 때 태풍 경보가 뜨거나, 천둥, 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쪽의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11. 문과 창문 고정하기
문과 창문을 잘 닫아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안전을 위해 집안에 있도록 합니다.
12. 낡은 창호
낡은 창호는 강풍으로 휘어지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으므로, 미리 교체하거나 창문을 창틀에 단단하게 고정시켜 틈이 생기지 않도록 보강해야 합니다.
13. 유리 단단히 고정하기
테이프를 불일 때에는 유리가 창틀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여 유리가 흔들리기 않도록 합니다.
14. 채움재
창틀과 유리 사이의 채움재가 손상되거나 벌어져 있으면 유리창이 깨질 위험이 있으므로, 틈이 없도록 보강해 주어야 합니다.
15. 외출자제
특히 안전사고를 대비하여,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16. 물에 잠긴 도로
물에 잠긴 도로로 걸어가거나 차량을 운행하지 맙시다.
17. 대피시 유의사항
대피할 때에는 수도와 가스 밸브를 반드시 잠그고 전기 차단기를 내려둡니다.
18. 용수로 및 배수로
집주변이나 경작지의 용수로 및 배수로를 점검합니다.
19. 산사태
주택 주변이 만일 산사태 위험이 있다면, 미리 안전한 곳을 확인 한 후 조속하게 대피합니다.
20. 위험물 제거
위험한 물건이 집주변에 있다면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안전을 위해서 미리 제거하도록 합니다.
태풍 '주의보' 때 대처
1. 저지대, 상습침수지역에서 대피하기
낮은 지대는 매우 태풍에 매우 위험한 지역으로 분류되어집니다. 저지대 또는 상습적으로 침수되는 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분은 서둘러 대피를 준비합니다.
2. 공사장근처 피하기
태풍이 우리나라를 지나 갈때 마다 공사장 근처에서 낙하물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와 관련 사건들이 빈번하게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태풍 주위보가 발생되었다면,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오니 절대로 가까이 가지 맙시다.
3. 감전주의
태풍 주의보까지 발생된 상황이라면, 감전되지 않도록 특히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을 절대로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맙시다.
4. 전기수리금지
태풍 주의보가 내려온 시점에서는 전기 수리는 절대로 해서는 않됩니다. 무엇보다 감전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안전해질 때까지는, 가급적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5. 감속운행
태풍 주의보가 내려진 상황에서는 운전을 아예 안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하지만 어쩔 수 없이 운전 중일 경우 안전을 위해 반드시 감속운행 합니다.
6. 천둥 또는 번개 칠 경우
천둥, 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지대가 상대적으로 낮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나무 근처로 가는 것은 나무로 인해 감전되게 되는 등 매우 위험할 수 있으므로 나무 주변은 피합니다.
7. 날라갈 위험이 있는 간판 또는 물건들
간판, 창문 등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치명상을 입힐 수 있는 살인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재물 손괴 또는 인명 피해를 막기 위해서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들은 사전에 미리 단단히 고정합니다.
8. 송전철탑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지체 없이 바로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신고하도록 합니다.
9. 출입문 잠가두기
안전을 위해 집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가 두는 것을 잊지 않도록 합니다.
10. 외출금지
태풍 '주위보' 상황에서는 가급적 외출을 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특히 이러한 위험한 상황에서는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면 안전에 취약해질 수 있으므로 가급적이면 절대 나가지 않도록 합니다.
11. 대피하기전 필수 유의사항
대피할 때에는 더 큰 재난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리 수도 및 가스 그리고 전기는 무조건 반드시 차단 한 후에, 안전한 장소로 대피를 하도록 합니다.
12. 실시간 정보확인
텔레비전, 라디오,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인터넷을 통해 시시각각의 태풍 상황 및 기상 정보를 잘 확인 하도록 합니다.
태풍 '경보' 때 대처방법
1. 지하 주차 금지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 주차를 하지 마시고, 이미 차량이 지하주차장등 낮은 지대에 주차가 되어있다면 강풍 또는 폭우의 상황에서 오히려 인명피해가 있을 수 있음으로 억지로 차량을 이동시키려고 하지 않습니다.
2. 지하주택, 반지하주택, 노후주택은 위험
반지하 주택에 거주하시고 계신 분들을 포함하여 지하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과 붕괴 우려가 있는 노후주택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3. 위험시설물 접근금지
건물의 간판 및 위험시설물의 낙하는 심각한 인명피해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각종 건물의 간판, 위험시설물들의 주변으로는 절대로 걸어가거나 가까이 접근하지 맙시다.
4. 문과 창문의 점검
문과 창문을 잘 닫아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안전을 위해 집안에 있도록 합니다.
5. 낡은 창호
낡은 창호는 강풍으로 휘어지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으므로, 미리 교체하거나 창문을 창틀에 단단하게 고정시켜 틈이 생기지 않도록 보강해야 합니다.
6. 창틀 유리 고정
테이프를 불일 때에는 유리가 창틀에 고정되도록 하여 유리가 흔들리기 않도록 합니다.
7. 채움재보강
창틀과 유리 사이의 채움재가 손상되거나 벌어져 있으면 유리창이 깨질 위험이 있으므로, 틈이 없도록 보강해 주어야 합니다.
8. 모래주머니 사용
특히 바다나 강가 주변에 거주하시는 분들이나, 지대가 낮은 곳에 거주하시는 분들의 경우, 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물이 넘쳐서 흐르는 것을 막도록 합니다.
9. 집주변 정리
바람에 날아갈 만한 물건들이 집주변에 있다면 안전을 위해 미리 제거합니다.
10. 속도 감속
도로에서 운전하고 있는 차량은 안전을 위해 속도를 줄이고 운전합니다.
11. 위험지대 접근금지
아파트 및 오피스텔, 상가를 포함 한 고층건물의 옥상, 지하실과 하수도 맨홀에 접근하지 맙시다.
12. 손전등 준비
혹시 모를 정전등의 상황을 대비하여 정전 때 사용 가능한 손전등을 준비해 놓습니다. (건전지를 사용하는 손전등이라면 손전등의 건전지 상태가 아직 괜찮은지 확인 해 놓으세요. 다 쓴 건전지라면 미리 바꾸어놓습니다.)
13. 가족간 소통
미리 만일을 대비하여 가족 간의 비상연락방법과 대피방법을 미리 의논합니다.
태풍이 지나간 후 대처
1. 파손된 곳 복구
파손된 상하수도나 도로가 있다면, 지체없이 바로 시,군,구청이나 읍,면,동사무소에 연락합시다.
2. 식수
혹시라도 드실 비상 식수가 떨어졌더라고 하더라도 절대 아무 물을 드시지 마시고 꼭 끓여서 물을 드시거나 생수를 구매해서 드십시오.
3. 침수된 집안관리
침수된 집안은 가스가 차 있을 수 있습니다. 먼저 환기 시킨 후에, 들어가세요. 전기 또는 가스, 수도시설은 위험할 수 있으므로 직접 손대지 마시고 전문업체에 연락하여 안전하게 사용합니다.
4. 망가진 곳은 사진으로 찍어놓기
태풍이 지나간 후에는 개인적인 사유시설 등에 대한 보수 및 복구를 위해 사진을 미리 사전에 찍어놓고 기록을 남기는 것이 좋습니다.
5. 제방근처 접근금지
태풍이 지나간 이후에 라도 제방은 붕괴될 위험이 있습니다. 추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태풍이 지나간 이후에도 안전을 위해 제방 근처에는 가지 않도록 합니다.
6. 전선근처 접근금지
전선 근처에는 그 누구라도 안전을 보장 할 수 없습니다. 바닥에 떨어져 있는 전선 주변에서라도 감전의 위험이 있으므로 절대로 접근 하지 않도록 합니다.
'쏘밍과 함께 건강하고 유익하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쟁 및 재난 대비, 반드시 준비해야 하는 필수 준비물품 총정리 (2) | 2022.12.02 |
---|---|
압사 사고 방지: 반드시 지켜야할 안전수칙 예방 방법 (1) | 2022.11.28 |
노인성 악성변비 치료방법, 노령의 부모님의 만성변비 해결방법 (0) | 2022.10.02 |
[식중독 vs 생굴 노로바이러스] 증상 및 원인 : 잠복기, 전염예방법, 치료방법 (회복에 좋은 음식) (0) | 2022.09.15 |
[심한 변비: 변비 심할때 원인 및 증상, 치료] 무조건 변비 해결하는 방법 (2) | 2022.09.15 |
댓글